<책 소개>
토평마을의 따뜻한 색채를 카메라에 담아보았습니다.
The warm feeling of Topyeong Village was captured on camera
<프롤로그>
▸서귀포 노지문화가 고유한 마을문화로 정착하기 위하여...
1. 이 책은 토평동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유한 노지문화가 문화콘텐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집필되었습니다.
2. 글을 한글과 영문으로 표기하였습니다. 영문 표기는 한국관광공사 관광용어 외국어 용례사전을 참조하였습니다.
3. 토평동 자료는 서귀포시 지명유래집을 주로 참조하였습니다.
4. 글은 일관된 서술체계를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에 가필, 가감할 것임을 사전에 집필자에게 양해를 구했습니다.
5.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 서귀포시,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책 미리보기>
▸돌창고와 옛집 그리고, 변소
과거 제주도의 화장실을 돗통시(변소와 돼지우리가 결합된 공간)라 불렀고, 어느 집이든 하나씩 설치되어 있었다.
1950~1980년대까지 새마을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면서 돗통시를 개량변소로 바꾸기 시작하였다. 변소 개량 운
동이 확대됨에 따라 수백 년 동안 내려오던 돗통시 문화는 순식간에 무너져 버렸다. 나중에 몇 개 남아있던 것까지
시멘트와 벽돌을 지원해 주면서 거의 강제적으로 허물어 버리고 지금은 성읍민속마을에 상징적으로 몇 동만 존재할
뿐이다.
▸Stone Warehouses, Old Houses, and Improved Squat Toilets
In the past, toilets on Jeju Island were called dottongsi (a space combining a toilet and a pigpen), and
one was installed outside every house. From the 1950s to the 1980s, as the Saemaul Movement spread
nationwide, Dottongsi began to be converted into an improved squat toilet. As the toilet improvement
movement expanded, the Dottongsi culture that had been passed down for hundreds of years quickly
collapsed. Later, it was almost forcibly demolished by supporting cement and bricks, and now only a
few symbolic Dottongsi exist in Seongeup Folk Village.
<지은이>
강수진, 양은정, 이동희, 한숙희
<서지정보>
초판 1쇄 2023년 10월 30일
지은이 강수진, 양은정, 이동희, 한숙희
기획・편집 이동희
영문번역 이동희
펴낸곳 이분의일
판형 210*148
페이지수 114p
ISBN 979-11-92331-83-6 (00090)
<책 소개>
토평마을의 따뜻한 색채를 카메라에 담아보았습니다.
The warm feeling of Topyeong Village was captured on camera
<프롤로그>
▸서귀포 노지문화가 고유한 마을문화로 정착하기 위하여...
1. 이 책은 토평동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유한 노지문화가 문화콘텐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집필되었습니다.
2. 글을 한글과 영문으로 표기하였습니다. 영문 표기는 한국관광공사 관광용어 외국어 용례사전을 참조하였습니다.
3. 토평동 자료는 서귀포시 지명유래집을 주로 참조하였습니다.
4. 글은 일관된 서술체계를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에 가필, 가감할 것임을 사전에 집필자에게 양해를 구했습니다.
5.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 서귀포시, 서귀포시문화도시센터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책 미리보기>
▸돌창고와 옛집 그리고, 변소
과거 제주도의 화장실을 돗통시(변소와 돼지우리가 결합된 공간)라 불렀고, 어느 집이든 하나씩 설치되어 있었다.
1950~1980년대까지 새마을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면서 돗통시를 개량변소로 바꾸기 시작하였다. 변소 개량 운
동이 확대됨에 따라 수백 년 동안 내려오던 돗통시 문화는 순식간에 무너져 버렸다. 나중에 몇 개 남아있던 것까지
시멘트와 벽돌을 지원해 주면서 거의 강제적으로 허물어 버리고 지금은 성읍민속마을에 상징적으로 몇 동만 존재할
뿐이다.
▸Stone Warehouses, Old Houses, and Improved Squat Toilets
In the past, toilets on Jeju Island were called dottongsi (a space combining a toilet and a pigpen), and
one was installed outside every house. From the 1950s to the 1980s, as the Saemaul Movement spread
nationwide, Dottongsi began to be converted into an improved squat toilet. As the toilet improvement
movement expanded, the Dottongsi culture that had been passed down for hundreds of years quickly
collapsed. Later, it was almost forcibly demolished by supporting cement and bricks, and now only a
few symbolic Dottongsi exist in Seongeup Folk Village.
<지은이>
강수진, 양은정, 이동희, 한숙희
<서지정보>
초판 1쇄 2023년 10월 30일
지은이 강수진, 양은정, 이동희, 한숙희
기획・편집 이동희
영문번역 이동희
펴낸곳 이분의일
판형 210*148
페이지수 114p
ISBN 979-11-92331-83-6 (00090)
(주)이분의일코리아
MAKE YOUR OWN BOOK
사업자등록번호 : 401-81-58723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2021-경기과천-0188호
대표자명 : 방수영
전화번호 : 02-3679-5802
이메일 : onehalf@1half.kr
주소 :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2길 6, 과천테라스원 508호